본문 바로가기

건강검진

건강검진 소변 . 혈액 검사로 신장질환 예방하세요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랑받는 동네병원 검진 실장입니다.

 

어제는 오십 대 후반이신 여자분이 검진하러 오셨는데요, 남편이 전립선암 3기라고 하셨습니다.

갑자기 발견되었는데요

미리미리 검사하지 않았던 것을 너무 후회하셨습니다.

평소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미리 예방을 하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아프지 않아도 검진과 검사로 미리 관리하라고 모든 사람들에게 말해주고 싶다고 하십니다.

 

건강검진으로 건강관리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증상이 거의 없어 놓치기 쉬운 신장질환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공단에서 신장기능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검사지만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정밀한 추적검사를 통해서 예방과 치료를 하시면 됩니다.

 

 

 

신장은 콩팥으로도 불리며 다양한 내분비 기능을 수행하는데, 주로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 소변으로 배출시켜 몸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신장질환으로는 신부전증, 사구체신염을 들 수 있는데 사구체신염은 신장에 있는 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로 치료를 방치할 경우 신장 기능 회복이 불가한 급성 또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고, 신부전증의 경우는 심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할 수 있어 조기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가지 질환으로 신장결석이 있습니다.

결석은 크기가 작을 때는 소변을 통해 저절로 몸에서 빠져나가기도 하지만 크기가 크면 이동하는 중에 콩팥, 요관, 방광 및 요도와 같은 비뇨기계를 이루고 있는 여러 기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신장질환은 증상이 거의 없어 놓치기가 쉽습니다.

악화되기 전 조기검진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이 혈액 및 소변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입니다.

 

 

 

●신장 혈액 검사

 

신장 혈액 검사는 두 가지입니다.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

 

근육에서 만들어지는 노폐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데, 혈액 내 수치가 높으면 신장의 기능이 잘 작용하지 않아 배출이 잘 안 되고 있는 것입니다. 크레아티닌 검사가 신장기능 검사에 아주 중요합니다.

크레아티닌 수치는 병원마다 기준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크레아티닌 정상 수치 : 1.5 이하

 

 

★신사구체여과율

 

신장이 1분 동안에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을 사구체 여과율이라고 합니다.

이 수치가 신장이 제대로 노폐물을 잘 걸러내는지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신사구체여과율 정상 수치 : 1분당 90-120ml

신사구체여과율 이상 수치 : 1분당 60ml 이하로 혈액을 여과할 경우

 

 

★혈액검사 결과 판정

 

신장질환정상 : 혈청크레아티닌 1.5 이하  

                    신사구체여과율  60 이상

신장질환의심 : 혈청크레아티닌 1.5 초과

                    신사구체여과율  60 미만

 

 

 

 

 

 

 

 

●신장 소변 검사

 

신장 소변검사는 단백뇨 검사입니다.

소변의 단백뇨는 가장 간단하게 신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소변 중에 단백질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신염, 신우신염, 방광염, 네프로제, 당뇨성 신증, 용혈성 질환, 교원병, 발열, 과로, 중독성 질환, 심부전등이 의심됩니다.

단백뇨는 일시적으로 잠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양성일 경우 재검사가 필요합니다. 

 

격렬한 운동 후나 생리 중에는 소변검사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에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소변을 받을 때는 처음 소변은 어느 정도 버린 후 중간뇨를 10ml 정도 받으시면 됩니다.

 

★소변검사 결과

 

음성(-), 약양성(+-), 양성 (+1, +2, +3, +4)

 

★소변검사 결과 판정 

 

정상 : 음성(-)

경계 : 약양성 (+-)

단백뇨의심 : (+1 이상)

 

 

 

 

 

 

 

 

 

●신장질환 증상

 

평소 피부 건조나 가려움증, 혈뇨, 잦은 소변, 부종, 소변통, 허리나 옆구리 통증 등의 증상이 있으면 신장기능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국가 건강검진에서 혈액과 소변으로 기본 신장질환 검사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